스마트컴퓨터융합공학과
Department of Smart Computer Convergence
Department of Smart Computer Convergence
교육목표
교육목적
- 정보기술교육을 통한 전공과정과 컴퓨터공학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스마트공장의 운영/설계 실무를 겸비한 현장 밀착형 인재 양성
- 학기미래 제조를 위한 융·복합 기술 혁신과 스마트공장 수요(제조)·공급(HW/SW솔루션)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소·중견기업 기반의 제조 산업 수요 연계가 가능하도록 재교육을 담당하여 융합형 창의적 인재 양성
교육목표
- 컴퓨터, 소프트웨어공학 및 경영이론, 실습교육과 종합설계를 통한 창의적 사고와 공학적 문제해결능력 배양
- 프로그램 학습 기반을 구축으로 하는 공학기초 및 정보기술, 경영교육을 통한 컴퓨터공학의 응용기반 구축
- 프로그램 실습 및 종합설계 등을 통한 IT 산업의 실용 능력 연마
- 산업체 연계를 통한 실제적 문제해결능력 보유 전문 인력 양성
-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여 4차 산업에 대한 개념, 관련 기술, 업종별 추진사례 등에 대한 이론과 실습 능력 배양
- 자사에 맞는 스마트공장 수립과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실무 중심 전문 교육을 통해 스마트공장 추진 역량 강화 및 성공적인 스마트공장을 도입·지원할 수 있는 인재 양성
- 일자리 창출 및 재배치
- 스마트 제조 혁신 선도 교육체계 확산
전공능력정의
전공능력 명칭 | 전공능력 내용(정의) | 하위요인 | |
---|---|---|---|
프로그래밍 실무 능력 |
정의 | 현장문제를 분석하여 요구사항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,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 |
|
수행준거 |
|
||
지식, 기술, 태도 |
[지식]
[기술]
[태도]
|
||
임베디드 시스템 개발능력 |
정의 | 컴퓨터 하드웨어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여 요구기능을 지원하는 임베디드 하드웨어를 설계하고, 해당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펌웨어와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 |
|
수행준거 |
|
||
지식, 기술, 태도 |
[지식]
[기술]
[태도]
|
||
시스템 구축 및 운영능력 |
정의 | 시스템 구성의 기존 요소(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, 운영체제 등)와 새로운 요소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고,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할 수 있는 능력 |
|
수행준거 |
|
||
지식, 기술, 태도 |
[지식]
[기술]
[태도]
|
교과 체계도
